서울대공원 1
복잡한곳을피해서 저와함께 서울대공원
구경해보실래요
여러차례 보여드려서 익숙할수도있지만
대자연속에 자연문화 학습공간
277만평이나되며
각종동물과식물이 있다고합니다
위락시설과 호수 청소년 수련장
운동시설 장미원
400여종3만그루의장미꽃장관을이룬다고합니다
하지만 장미원은 일단패스
서울대공원하면 생각나는것 코끼리열차
스카이리프트를 타볼려고합니다
식물원은1985년 5.1일개원했다고합니다
식물원은일일히구경을안했고 집결시간이11시였으나 혹시나 초행인를배려 12시30분 1시간반이나
기다려도깜깜무소식 합류한일행은
동물원을집중적으로구경했어요
1909년 전국민 관광명소 사랑을 받아오던 창경원노후되었을뿐만 아니라
창경궁 복원
1978년10월부터 공사하여
1984년5월동물원
1985년식물원개원했다고합니다
공원에서 가장 인기있는곳은 동물원으로
창경원에 있던 129종 880마리
비롯해 현재 세계곳곳에서 수집한377종 3272동물을 어린이동물원 아프리카관 대동물관 해양동물관 아메리카관 동양관 큰물새장등 75개의 동물사에서
사육하고 있다고 합니다
스카이리푸트이용탑승고객은코끼리열차와 유기시설물로 경로 장애인 국가유공자도 유료 탑승하셔야 합니다
코끼리열차 어른₩1000원~/19세이상
리푸트5500원
1회권은 탑승의4구간중상행2개 하행2개구간중 한구간을 이용할수있는
승차권
단리푸트2호선을 이용할경우동물원입장권을구매해야입장해야한다고합니다
2회권 만원 당일권만삼천원
단체는 30인이상 동물원 테마가든입장시 30%할인되며 당일결재가능
유치원선생님 학생인솔선생님무료 (단교사자격증지참) 입장권은1장으로발급된다고합니다
만5세이하 65세이상무료
하절기 3~10월 ..오전9시부터~~19:00
동절기 11~2월..오전9시부터~~18:00
쉬는날이없으며 이용마감1시간전까지 입당가능하다고합니다
우리는 우선스카이리푸트를타기로결정하고 고고
자 저와함께 또다시서울대공원구경해보실래요~~고고(본인의 카스에 등록한글 )
리푸트를 타고 내리고우리숲 우리동물이나타났어요
우리숲우리동물
날쌔고 귀여운 동물친구들
노랑목도리담비 | 너구리 | 오소리 | 스라소니
우리숲우리동물관에서는 족제비와 비슷하지만 몸집이 훨씬 크고 목 밑에 노란색의 털이 있는 노랑목도리담비와 소형의 육식동물들과 만날 수 있습니다. 전시관은 야행성이 두드러지는 대개의 소육식 동물들의 습성에 맞추어 인공조명으로 낮과 밤을 바꿔 낮임에도 밤으로 착각하고 활동케 하여 관람할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서울대공원 홈페이지서 발췌 )
자세히보실래요 고고 ~~~~~~~~~~~ㅋㅋㅋㅋ
우리동물과 우리숲 맹수사를 구경하고 식사도 해결하고
또 발길닿는데로 구경시켜드릴께요
해양관
돌고래와 물개의 즐거운 만남
바다사자 | 잔점박이물범 | 캘리포니아바다사자 | 남아메리카물개 | 오타리아 | 큰돌고래 | 남방큰돌고래
물개과 중 가장 커 수컷은 1톤을 넘기도 하는 바다사자, 보통 물개와 달리 온난한 해안에 사는 남아메리카물개, 다른 물개류보다 영리하고 행동도 민첩하여 재주도 곧잘 부리는 캘리포니아바다사자, 탄탄한 몸매로 수컷은 어깨까지 이르는 특이한 갈기를 가진 오타리아, 열마리에서부터 수백마리에 이르기까지 무리를 지어 생활하며 영리하고 사람과도 쉽게 친해지는 큰돌고래 등 바다 동물 중 포유류 대표종인 물개류, 물범 및 돌고래 등이 살고 있습니다(서울 대공원 홈페이지서 발췌 )
두눈이보이지않아서 사육사가 노력으로 혼자서도 잘다닌데요 마음이
물이 조금 안깨끗했어요 비릿내났어요
그리고카메라로 후랫시 터트리지 말라는 문구도 본것같고요
동물들이 놀란다고요
덩치도 어마어마하게 컸어요 ^^*이름값답게요
마음이 2013년 7월 울산앞바다에서 구조 눈이보이지않아서 지속적인 치료와 사랑으로 섭이훈련으로 이젠 움직일수 있다고 합니다
해양 포유류는 초식서으이 매너티 듀공과 육식성의 북극곰 물범 물개류와 고래 돌고래 해달들이 있다고합니다
최근 지구 온난화로 바다온도가 상승해 기름유출과해양오염 해양생태계가파괴되어
해양포유들이 위기가 닥쳤다고 합니다
제돌이가 바다로 돌아간것 아시죠
제돌이는 인간이돌 되돌려준고래에게 자유를 첯번채사례라고합니다 고래에게 자유를
물고기와 고래의 차이점 물고기는 아가미로 호흡하지만
제돌이는 우리나라 제주도에살고있는 114마리 밖에 남지않는 남방 큰돌고래라고합니다
고래는새기를 낳아서 젖을먹여키우는 포유동물 이라고합니다
고래와 돌고래는 몸길이로 나누어진다고합니다
몸길이가 4m보다 크면 고래작으면 돌고래랴고합니다
돌고래는 1000~20만 헤르츠의초음파를 통해서 먹이를 찿거나 동료와소통한다고합니다
돌고래외에도 초음파이용하는 동물은 박쥐와뒤쥐 무리가있다고합니다
돌고래길
- 거리 :
- 1.7km
- 총 관람시간 :
- 2시간 20분
- 관람동물 :
- 얼룩말, 타조, 미어캣, 하마, 코끼리, 낙타, 황새, 바다사자, 곰, 원앙
코끼리 아저씨는 코가손이래요 과자를 주면 코를 받지요 ㅋㅋㅋ
들소사
초원의 의리파 동물들
늑대 | 설표 | 유럽들소 | 삵 | 코요테 | 히말라야타알 | 마콜 | 검은등쟈칼 | 아메리카들소 | 스라소니 | 여우 | 남생이 | 맹꽁이 | 금개구리
집단으로 ‘우우’하는 독특한 소리로 울부짖어 자기 세력권을 지키는 늑대, 전체무리가 동시에 대초원을 우르르 달리는 습성으로 유명한 아메리카들소, 나무가 무성한 사막지대에서 무리지어 생활하는 히말라야타알, 아메리카들소와 닮았지만 체격이 다소 작고 귀가 털 밖으로 나온 유럽들소 등 들소사에서는 소과 야생동물의 사육·전시와 함께 삵, 여우 등 토종동물을 번식시키기 위하여 노력하고 있습니다.(서울대공원 홈페이지에서 발췌 )
제3아프리카관
초원의 제왕과 날쌘 친구들
사자 | 치타 | 얼룩무늬하이에나 | 일런드 | 세이블앤틸롭 | 블레스복
제3아프리카관에는 당당한 체구와 우렁찬 울음소리로 ‘백수의 왕’ 이라 불리는 ‘동물의 왕’ 사자, 최고 시속 113km로 달리는 지상 포유류 중 가장 빠른 치타, 다른 동물들이 먹다 남은 먹이를 찾아 먹어치우는 ‘초원의 청소부’ 얼룩무늬하이에나, 영양 중 생존수가 적어 국제 보호 동물로 보호되고 있는 일런드, 세이블앤틸롭의 뒤로 휘어진 멋진 뿔과 적갈색과 흰색의 단조로운 조화가 이색적인 산양 블레스복 등 아프리카 초원을 누비는 다양한 동물들을 만날 수 있습니다.
이 저신관에 딸린 방사장에는 사자, 치타 하이에나 그리고 영양류를 4개의 블록으로 나누어 놓았으나, 관람객의 시각에는 마치 하나의 평면상에 섞여 있는 것 같아 먹고 먹히는 아프리카 야생계의 스릴을 맛볼 수 있습니다(서울대공원 홈페이지발췌)
2아프리카관하마와 온순한 초식동물들
하마 | 꼬마하마 | 흰오릭스 | 바바이양 | 니얄라 | 시타퉁가
육상동물 가운데 코끼리 다음으로 거대한 몸집을 가진 하마, 세계적 희귀종으로 하마보다 작은 체형의 귀여운 꼬마하마와 튼튼한 발로 점프는 물론 산도 잘 오르는 바바리양, 수컷의 뿔이 72cm나 되는 대형 산양 니얄라, 습지대에서 생활하기 좋은 길고 넓은 발굽을 가진 시타퉁가, 1m가 훨씬 넘는 큰 뿔이 활처럼 휘어져 멋진 흰오릭스 등 아프리카와 사막지대에서 생활하는 각종 영양류가 살고 있습니다.
제2아프리카관은 전시실과 풀장, 침실과 산실로 마련되어 있으며, 방사장에는 풀장과 늪이 있고 하마류 이외의 여양류는 모두 한 마당에 섞여 있어 아프리카 초원의 축소판을 경험할 수 있습니다.(서울 대공원 홈페이지발췌 )
가장 무거운 육제동물이라고합니다
황매화인가요
세계 각국 동물 친구들의 이야기
지구상에 존재하는 온갖 동물들이 모여 있는 서울동물원에는 세계적 희귀종인 로랜드 고릴라를 비롯해 약 333여 종 3700여 마리의 세계 각국 동물들이 원산지와 생태, 계통별로 나뉘어져 자연생태에 가깝게 보호, 관리되고 있습니다. 아프리카에서 온 사자, 기린, 코끼리와 같은 인기 있는 동물들부터 초원을 누비던 초식동물들과 각 대륙에서 날아 온 새들, 바다 속 재주꾼 돌고래 친구들은 물론 세계적으로 희귀한 멸종위기 동물들까지 모두 만날 수 있는 동물과 사람이 함께 어우러지는 특별한 체험공간입니다.(서울대공원 홈페이지서 발췌 )
ㄷ단봉낙타인가요 ?
낙타사
사막을 지키는 멋진 신사들
쌍봉낙타 | 단봉낙타 | 돌산양 | 아이벡스 | 무풀론 | 큰뿔양 | 몽고야생말
점프력이 뛰어난 험한 절벽도 가볍게 오르내리는 아이벡스, 동그랗게 휘어져 앞으로 향한 큰 뿔이 이색적인 큰뿔양, 적을 만나면 바위 위로 피하는 돌산양, 등에 지방질로 가득찬 한 개의 봉이 나있는 단봉낙타와 등에 두 개의 혹을 지고 다니는 쌍봉낙타, 투쟁심 강한 무풀론, 현존하는 유일한 야생말 종류인 몽고야생말 등 사막지대에서 생활하는 동물들이 살고 있습니다. 추위와 더위에 강하여 오랜 옛날부터 사막에서 중요한 교통수단으로 활용되었던 낙타를 비롯하여 야생말 가운데 현존하는 유일한 몽고야생말과 아이벡스, 무풀론, 큰뿔양 등을 만날 수 있습니다.서울대공원 홈페이지서 발췌 )
쌍봉낙타는 기어히못보앗어요 낙 타우리 에요
황새마을
대륙 대표 새들의 집합소
노랑부리저어새 | 흑따오기 | 원앙이 | 아프리카저어새 | 아프리카흑따오기 | 아메리카원앙이 | 중백로 | 물닭 | 홍따오기 | 쇠백로 | 황새 | 검은댕기해오라기 | 해오라기 | 관학
우리나라 제주도 텃새인 쇠백로와 나뭇가지나 풀줄기로 접시모양 둥우리를 짓는 중백로, 우아한 고전미가 엿보이는 흑따오기, 머리와 목에는 깃털이 없고 따오기보다 몸집이 작은 아프리카흑따오기, 새빨간 몸과 활처럼 아래로 굽은 부리의 홍따오기, 숟가락 모양의 넓적한 부리를 가진 노랑부리저어새, 번식기에 큰 무리를 이루어 한 나무에 여러 쌍이 공동으로 둥우리를 만드는 습성을 가진 아프리카저어새, 도토리를 좋아해 주로 산 속에서 채식하는 아메리카원앙이 등 아시아, 남·북아메리카, 아프리카 대륙에 분포하여 서식하고 있는 세계 각 지역의 조류를 작은물새장에서 만날 수 있습니다서울대공원 홈페이서 발췌 )
홍학사
우아한 날개짓의 춤꾼
꼬마홍학 | 큐바홍학 | 유럽홍학 | 칠레홍학
어른이 되어도 키가 1m에 불과한 꼬마홍학, 늘씬한 핑크빛 다리와 흰색과 가까운 털이 고급스러운 유럽홍학, 그리고 다리에 붉은 띠를 두른 칠레홍학과 무리 중 가장 돋보이는 커다란 키와 선명하게 붉은 깃털의 큐바 홍학.
부리를 거꾸로 하여 물밑을 더듬어 먹이를 걸러먹는 습성을 가진 우아한 자태의 홍학들은 이렇게 네 종류의 홍학 90여 마리가 무리지어 살고 있습니다(서울대공원 홈페이지발췌 )
ㅎ홍학은 불꽃이라는 듯의홍학 라틴어 라고합니다
학과 비슷하여붉은 학 하지만 생활못ㅂ 먹는것 사는것이 학과는 다르다고합니다
유럽 홍학 키가가장 크고 흰색 깃털
쿠바홍학 붉은 색 깃털
칠레홍학 회색다리에 관절과 발바닥 이 붉은색 이래요
꼬마홍학 키가작으며 부리가 검은색 이래요
콧구멍 은 있지만 냄새는 뫁맡는데요 웃긴다
목빼는 19개인데 유연하게 움직인데요
부리는 아가때는 회ㅣ색이지만 일자형 어른이되면 구부려진데요
발은 수영할수 있으며 물갈퀴가 있고 발 가락 은 4개라고합니다
때로는 사진과 설명이 일치 하지않고 헷갈릴수도 있답니다
이점 이해해주셔요 설명서가 첨부된사진은 이해를 돕기위하여 확대해서 올렸습니다
사슴길
- 거리 :
- 1.8km
- 총 관람시간 :
- 2시간
- 관람동물 :
- 홍학, 기린, 코뿔소, 펠리칸, 두루미, 공작, 콘돌, 사슴, 들소, 종보전교육관
부엉이길
- 거리 :
- 1.8km
- 총 관람시간 :
- 2시간 40분
- 관람동물 :
- 홍학, 기린, 캥거루, 곤충류, 부엉이, 앵무, 공작, 독수리, 나무늘보, 비버
- 일일히 못돌아보았지만 동물원 코스는 대강 호랑이길 돌고래길 사슴길 부얼이길 그럻게 나누어 진데요
- 일일히 구경다하려면 대략 2시간 넘게 걸리죠 동물원만 구경 해도하루종일 해야되겟어요 하하하
- 동물원 구경 은 잘 하셨나요 제발길 닿는데로 기록해 보았습니다
서울 대공원
위치 경기도 과천시 대공원 광장로 102 서울대공원
환승역 및 하차안내
이동하시는 지역의 가까운 역에서 4호선으로 환승하시어 대공원(서울랜드)역에서 왼쪽문으로 하차 후, 2번출구로 나오시면 됩니다.
- 1호선
- 창동역, 동대문역, 서울역, 금정역
- 2호선
- 동대문역사문화공원역, 사당역
- 3호선
- 충무로역
- 4호선
- 서울역
- 5호선
- 동대문역사문화공원역
- 6호선
- 삼각지역
- 7호선
- 노원역, 총신대입구(이수)역
- 9호선
- 동작역
- 중앙선
- 이촌역
- 경의선
- 서울역
- 공항철도
- 서울역
'사랑방 > 행복님의 삶' 카테고리의 다른 글
5월을 드립니다 ,고맙습니다 (0) | 2016.05.03 |
---|---|
서울 대공원 4(서울 동물원 ) (0) | 2016.05.03 |
서울대공원2(동물원 ) (0) | 2016.05.02 |
서울대공원 1 (0) | 2016.05.02 |
군포 철쭉 동산 2 (0) | 2016.04.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