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랑방/호인7님의 여행

영화 "마이 웨이'(The Winners)의 내용소개

doggya 2017. 6. 12. 20:05


                                

(퍼온 글)  Dr. Gold

                

'아버지는 무엇으로 사는가'


올드시네 네이버카페

록회장의 <잊지 못할 영화>에서 인용

2017년 6월 3시 3시

한국예술종합학교 도서관 5층 상영관, 상영


  마이 웨이(The Wimnners)는 우리나라 개봉 당시 많은 관객들에게 사랑을 받았던 작품이다. 1975년 추석프로로 개봉된 이 영화는 서울 명보극장과 부산 부산극장, 대한극장 등에서 동시 개봉되었다. 부산의 2개관 좌석을 합치면 총 3,424석이다(부산극장 1,491석, 대한극장 1,933석) 개봉후 7일간 2개관이 매진사례를 이루면서 10만여 명의 관객을 동원한 일은 당시 부산극장가의 화제였다. 명보극장에서는 307,368명의 관객을 동원했고, 부산에서는 22만여명의 관객을 동원하면서 <스팅>, <엑소시스트>에 이어 1975년 우리나라 외화 흥행 3위작으로 기록되었다.


  매독스 건설회사의 사장 윌(죠 스튜어드슨)은 30년전 올림픽에서 금메달을 딴 마라톤 선수로 온갖 고난 끝에 오늘의 영광을 일군 입지전적인 인물이다. 슬하에 3남 1녀를 둔 가장으로 남들이 보기엔 다복한 가정이지만, 자세히 들여다보면 그렇지도 않다. 아들들을 기업의 후계자로 키우기 위하여 엄격한 교육을 시키면서 항상 1등을 강요하자, 아들들은 아버지에게 강하게 반발한다.


  자동차 경주에서 우승한 장남 토니가 이혼경력이 있는 밤무대 여가수를 며느리감으로 데려오자 아버지는 단호하게 거절한다. 그후 자동차를 타고 질주하던 토니는 교통사고로 하반신 불구가 된다. 차남 폴은 스스로 집을 나가 방황 중이고, 아버지가 가장 기대를 걸었던 막내 베리는 건설현장의 엘리베이터가 추락하면서 사망한다. 이 모든 불행이 남편 때문에 일어난 것이라며 평생 믿고 살았던 아내까지 남편에게 반기를 든다.


  모든 꿈이 깨어진 중년남자 윌은 자신의 지난 인생을 뒤돌아 보게 되고, 남은 인생을 어떻게 살아야 하는가 하는 생각에 잠긴다. 그러던 어느 날 마라톤 대회가 열리자 윌은 참가를 결정한다. 시합이 열리던 날, 오랜 방황을 끝낸 차남 폴의 모습도 보인다. 부자는 나란히 달리기를 시작하고 폴은 우승을 한다. 아버지 윌은 몇 번을 넘어지고 쓰러지면서도 끝까지 포기하지 않고 달려 꼴찌로 종착점에 도착한다. 종착점에는 그들이 사랑하는 가족들이 기쁨의 눈물을 흘리며 반겨준다. 정말 감동적인 엔딩이다.


  <마이 웨이>는 남아프리카 공화국에서 제작된 영화이다. 프랭크 시나트라가 불러 세계적으로 히트를 한 노래 '마이 웨이'가 주제가로 사용되면서 더욱 유명해진 영화다. 영화의 마지막에 울려 퍼지는 노래 '마이 웨이'는 감동을 배가시키는 역할을 하는데, 에밀 노팔 감독의 탁월한 선택이다. 우리나라에서는 미국개봉제인 '마이 웨이'라로 개봉을 했는데, 이 영화가 우리나라에서 성공한 첫 번째 이유가 아닐까 한다. 이 영화 히트 이후에 패티김 등 우리나라의 많은 가수들이 이 노래를 번안하여 부르기도 했다.


  (영화 안에서 ‘마이 웨이, 노래는 프랭크 시나트라 아닌 다른 사람이 불렀다고 한다. 그전에 프랑스어로 된 노래가 이미 있었다고도 한다. 폴 앵커는 편곡하여 후랭크 시나트라에게 제공하였다고 한다.)




'お父さんは 何で 生きるのか'


Rock회장의 원문/

Dr. Gold가 네이버로 번역하고 임의수정, 미완성문.

장위 3동, 원어민 일본어반 교재용 (매주 목요일 10시

                        성북구 장위동 종합사회복지관 3층).

☆ 학습용이니 부족한 점은 지적해 주시고,

많은 양해를 바랍니다.


                  2017年 6月 3日 3時

韓國藝術綜合學校 圖書館 5層, 上映


  <マイウェイ>(The Winners)は、わが国の 封切り 当時、多くの 観客たちに 愛された 作品だ。 1975年 お盆プロに 封切られた 同映画は ソウル ミョンボ 劇場と 釜山劇場、大韓劇場などで 同時 公開された。 釜山の 2の 開館の 座席を 合計すれば、計3,424席となった(釜山劇場1,491議席、大韓劇場1,933席) 開封後 7日間 2の 開館が売り 切れと なり、10万人余りの 観客を 動員した ことは 当時、釜山(プサン)の 劇場街の 話題だった。 ミョンボ劇場では 307,368人の 観客を 動員し、釜山では2 2万人余りの 観客を 動員して <スティング>、<エクソシスト>に 続いて 1975年、韓国 海外映画 興行 3位作として 記録された。


  トミー・マドックス建設会社の 社長 ウィル (情熱ステュオドゥスン)は 30年前に 五輪で 金メダルを 取った マラソン選手として あらゆる 苦難の 末、今日の 栄光を 成し 遂げた 立志伝的な 人物だ。 膝下に 3男 1女を もうけた 家長として、他人の 目には 多福な 家庭だが、詳しくの ぞいてみると そうもない。 息子たちを 企業の 後継者に 育てる ためて 厳格な 教育を させながら いつも 1位を 強要する と、息子たちは 父に、強く反発して いる


  自動車 レースで 優勝した 長男、トニーが 離婚経歴の ある 夜の 舞台の 女性歌手を 息子の 嫁に 連れてきたら、父は 断固として 拒絶する。 その後 自動車を 乗っ て疾走した トニーは 交通事故で 下半身不随に なる。 次男の ポールは 自ら 家を 出て 放浪中で、父が 最も期待を かけていた 末の ベリーは 建設現場の エレベーターが 墜落し、死亡する。 この 不幸が 夫のために 起きたものだとし、生涯 信じて 暮した 妻まで 夫に 反旗を 翻す。


  すべての 夢が 壊れた 中年の 男 ウィルは 自分たちの 過去の 人生を 振り返って 見るように なって、残りの 人生を どう 生きる べきかという 考えに ふける. そんな ある日 マラソン大会が 開かれると、ウィルは 参加を 決定する。 試合が 行われた 日、長い 彷徨を 終わらせた 次男・ポールの 姿も 見られる。 父子は 並んで 走り 始めて ポールは 優勝を する。 父ウィルは 何度 倒れて 倒れながらも 最後まで 諦めずに 走って 最下位で 終着点に 到着する。 終着点には 彼らが 愛する 家族たちが 喜びの 涙を 流しながら 迎えて くれる。 本当に 感動的な エンドだ。


  <マイウェイ>は 南アフリカ共和国で 製作された 映画で ある。 フランク・シナトラが 歌って 世界的に ヒットをした 歌'マイウェイ'が主題歌に 使用され、さらに 有名に なった 映画だ。 映画の 最後に 鳴り響く 歌 'マイウェイ'は 感動を 倍加させる 役割をするが 、エミール・ノパル監督の 卓越した 選択で ある。 我が 国では、米国で 封切られる ジェーン 'マイウェイ'で 公開されたが、この映画が 韓国で 成功した 最初の 理由が ないかと 思う。 この 映画 ヒット 以降に パティ・キムなど、韓国の 多くの 歌手たちが、この 歌を 翻案して うたつたりもした。


  ☆ 이번 영화대사 자막번역에 솔로몬 선생이 영어와 일본어 번역을 참고하셨다는데, 위의

글이 얼마나 거기에 근접하였는지는 의문이다. 그리고 상영회후 솔로몬님께 여쭈어본 결과,

자막 만드는데는 일본의 독특한 한자보다, 영문본이 더 참고가 되었다고 한다

  마이웨이 영화필림은 부산 부경대학의 장윤석교수(김밥)님이 미국에서 16mm필름을 

구입하고,  일전에 록회장님께 전달하셨다고 한다. 그후 록회장님이 남아공에서 CD를 구입,

설남문 (솔로몬)님께 자막 만드는 일을 부탁하였다고 한다. 관심 있는 분들의 많은 참관을 바랍니다. .

/ Dr. Gold  (김양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