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랑방/행복님의 삶

수원 나들이 1 일상탈출

doggya 2014. 9. 18. 16:59

자..오늘은수원화성.성를규경시켜드릴까요

자세한것은위폐이지홈폐이지참고하셔요

관심없으면안읽어봐도상관없고요

평일이지만특히 어린이들현장학습나온

유아들이많았어요...성곽을따라올라갔는데

아마제가본것은극히일부분

활쏘는국궁장도있었는데 시간제약

그리고엄첨많은사람들이줄서있었어요

성높은누각은자물쇠가채워져있어

누각에서바라볼수없었어요

나중에기회가주어지면또다시답사해볼량으로

오늘은꺼죽데기만보고 힐링하고왔습니다

수원성을다녀오고나서

2014년.9.17일수요일 ㅇ


수원화성 이미지

  • 조선 성곽 건축의 꽃, 수원화성은 조선 제22대 정조대왕이 장헌세자에 대한 효심으로 부친의 원침을 수원 화산으로 옮긴 후 1796년 9월 완공된 성입니다.
  • 수원화성은 조선왕조 제22대 정조대왕이 세자에 책봉되었으나 당쟁에 휘말려 왕위에 오르지 못하고 뒤주 속에서 생을 마감한 아버지 사도세자의 능침을 양주 배봉산에서 조선 최대의 명당인 수원 화산으로 천봉하고 화산 부근에 있던 읍치를 수원 팔달산 아래 지금의 위치로 옮기면서 축성되었습니다.
  • 수원화성은 정조의 효심이 축성의 근본이 되었을 뿐만 아니라 당쟁에 의한 당파정치 근절과 강력한 왕도정치의 실현을 위한 원대한 정치적 포부가 담긴 정치구상의 중심지로 지어진 것이며 수도 남쪽의 국방요새로 활용하기 위한 것이었습니다.
  • 수원화성은 규장각 문신 정약용이 동서양의 기술서를 참고하여 만든 「성화주략(1793년)」을 지침서로 하여, 재상을 지낸 영중추부사 채제공의 총괄아래 조심태의 지휘로 1794년 1월에 착공에 들어가 1796년 9월에 완공하였습니다. 축성시에 거중기, 녹로 등 신기재를 특수하게 고안·사용하여 장대한 석재 등을 옮기며 쌓는데 이용하였습니다.
  • 수원화성은 축조이후 일제 강점기를 지나 한국전쟁을 겪으면서 성곽의 일부가 파손·손실되었으나 1975~1979년까지 축성직후 발간된「화성성역의궤」에 의거하여 대부분 축성 당시 모습대로 보수·복원하여 현재에 이르고 있습니다.
  • 자세히보기
  • 수원화성 시설물소개
  • 수원화성 역사적의의
  • 수원화성 축성이야기
  • 수원화성 관람안내
자료 리스트
화홍문
화홍문북수문은 편액에 화홍문[사인(士人) 유한지(兪漢芝)가 썼다]이라 되어 있다. 방화수류정의 서쪽 44보 되는 곳에 있다. 광교(光敎) 언덕을 대천(大川)이 가로로 자르며 흐르고 있어, 여름 장마 때마다 범람하는 환난이 있었다. 그래서 성을 쌓기 시작할 때에 물길을 내는 일을 먼저 하였다. 넓혀서 소통을 시키고 7간의 홍예로 된 돌다리를 하천 위에 걸쳐서 설치하였다. 그 동서로 3간은 아래 너비가 8척 높이가 7..

자료 리스트
화서문
화서문화서문[편액은 좌의정 채제공이 썼다]은 성의 서문이다. 동남으로 행궁과 460보 떨어졌으며 묘좌(卯坐) 유향(酉向)에 자리잡고 있다. 홍예와 문루의 제도는 모두 창룡문과 같다. 다만 좌우의 돌 계단을 꺽어지게 해서 층을 만들었다. 안쪽 좌우의 무사는 아래 너비가 각각 9척이고, 바깥 쪽은 너비가 각각 22척 2촌이다. 홍예문 사이 좌우의 무사는 높이가 각각 18척이고 수문청은 문의 남쪽 가장자리에 있다[협도는 둘을 세웠다]. ..

자료 리스트
창룡문
창룡문창룡문[편액은 판부사 유언호(兪彦鎬)가 썼다]은 성의 동문이다. 서남으로 행궁과 1,040보 떨어져 있고, 유좌(酉坐) 묘향(卯向)이다. 안팎으로 홍예를 설치하였는데, 안쪽은 높이가 16척 너비가 14척, 바깥 쪽은 높이가 15척 너비가 12척, 전체 두께는 30척이다. 안쪽 좌우의 무사는 각각 아래 너비가 30척 높이 18척 5촌이며, 좌우의 와장대(臥長臺)는 길이가 각각 20척이고 돌계단은 각각 14층..

자료 리스트
장안문
장안문장안문[편액은 전 참판 조윤형(曺允亨)이 썼다]은 성의 북문이다. 행궁의 왼쪽 편인데 동쪽으로 780보되는 곳에 사좌(巳坐) 해향(亥向)으로 앉았다. 문의 안과 밖은 홍예로 되어 있다. 안쪽 홍예는 높이 19척 너비 18척 2촌이고, 바깥 쪽 홍예는 높이 17척 5촌, 너비 16척 2 촌, 전체 두께는 40척이다. 안쪽의 좌우에 있는 무사(武砂)[성석이 크고 잘 다듬어진 것으로 문 옆의 석면(石面)이 ..

자료 리스트
팔달문

조선 후기인 1794년에 세운 화성의 남쪽 문으로, 문의 이름은 사방팔방으로 길이 열린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 화성의 4성문 중 동쪽문과 서쪽 문에 비해 북쪽문과 남쪽 문은 더 크고 화려하게 꾸몄다. 돌로 쌓은 무지개 모양의 문은 왕의 행차 시에도 가마가 드나들 수 있을 만큼 널찍하게 내고 위에는 정면 5칸 측면 2칸의 중층 문루를 세웠다. 문루 주위 사방에는 낮은 담을 돌리고 바깥쪽으로는 반달형 옹성, 좌우에는 적대 등 성문 방어에서 핵

 

 

북포루북포루는 북서포루의 서쪽 129보 5척의 거리에 있다. 치(雉)가 성 밖 19척까지 튀어 나왔다. 외면의 너비 27척, 5량 집을 지었다. 사방 2간인데, 구조는 동북포루와 같다. 3면의 평평한 여장은 누의 바닥과 이어지며, 각각 포를 쏘는 구멍을 내었고 안쪽에 나무사다리를 설치했다.

자료 리스트
북암문
북암문북암문은 동북각루의 동쪽 40보 되는 벽돌로 쌓은 성 사이에 있다. 안과 밖의 홍예 역시 벽돌로 쌓았다. 안쪽은 너비가 4척 6촌 높이가 6척 5촌이고, 바깥 쪽은 너비가 4척 높이가 6척이다. 문위에는 둥근 여장을 설치했는데 제도는 동암문과 같다. 홍예 사이에는 돌계단을 설치하여 들어가는 곳은 높고 나오는 곳은 낮게 만들었는데, 지세가 그러하기 때문이다.

자료 리스트
북서포루
북서포루북서쪽에 위치한 북서포루는 검정 벽돌을 쌓에 치성과 같이 성밖으로 돌출시키고 내부는 나무판을 이용하여 3층으로 구획하였으며 포혈을 만들어 화포를 감추어 두고 위와 아래에서 한꺼번에 공격할 수 있도록 하였다.북서포루는 성밖으로 약 8.8m 돌출되어있으며 지붕의 형태가 성안쪽은 맞배지붕형식, 바깥쪽은 우진각 형식으로 된 것이 특징이다.

자료 리스트
북서적대
북서적대북서적대는 장안문의 북서쪽 약 62.5m 지점에 있으며 1795년(정조 19년) 화성 축성과 함께 축조되었다.적대란 성곽의 중간에 약 82.6m의 간격을 두고 성곽보다 다소 높은 대를 마련하여 화창이나 활과 화살 등을 비치해 두는 한편 적군의 동태와 접근을 감시하는 곳으로 옛날 축성법에 따른 성곽 시설물이다.화성 축성 때에는 이미 총포가 전쟁에 사용되던 때이지만, 옛날의 축성법에 따라 적대를 만들어 창과 활 대신 총포를 쏠 수 있도록 총안을..

자료 리스트
북동포루
북동포루북동포루는 화홍문 서쪽 124보 3척쯤 되는 거리에 있다. 루는 대체로 5좌(座)가 있는데, 그 구조는 모두 똑같다. 성의 몸체에 凸 자 모양을 붙여 치성과 비슷하게 하고 집을 지었는데, 높이는 포(鋪)와 같다. 3층으로 하여 그 가운데를 비운 점이 마치 공심돈의 구조와 비슷하다. 모두 벽돌을 사용하여 만들었는데, 아래 넓이나 위의 줄어든 넒이가 모두 옛날 제도의 재돌(再突)하는 형세를 따랐다. 화포를 많이 감추어 두어 위..

자료 리스트
북동적대
북동적대적대는 성문과 옹성에 접근하는 적을 막기 위해 성문의 좌우에 설치한 방어 시설물이다.포루와 치성은 성곽밖으로 완전히 돌출된 반면 이 적대는 시설물의 반만 외부로 돌출되고 반은 성안으로 돌출되어 있다.적대는 성곽보다 높게 만들어서 적군의 동태와 접근을 감시하였으며 총안등을 만들어 유사시 적을 공격할 수 있도록 만들어졌다.북동적대는 장안문에서 동쪽으로 관통하는 도로를 건너있으며 1969년에 보수한 바 있다.적대의 돌출길이는 8.9m 이고 폭은 ..

자료 리스트
봉돈
봉돈봉돈은 일자문성(一字文星)의 위에, 동2포(東二鋪)와 동2치(東二稚)의 사이에 있는데 행궁을 안조(案照)한다. 4성을 쌓고 나서 파수(把守)를 설치하여 정찰할 임무를 맡긴 것은 척후(斥候)의 의미를 가진 것이니, 멀리 육지나 바다에 대한 경보를 알리는 것을 더욱이 소홀히 해서는 안된다.그래서 드디어 철성(凸城)의 제도에 의거하여 비로소 봉돈을 설치하였다. 벽돌로 쌓아올려 성의 ..

자료 리스트
동이포루
동이포루

포루는 성곽을 돌출시켜 만든 치성 위에 지음 목조건물이며 초소나 군사대기소와 같은 곳이다. 동이포루는 화성의 5개 포루 중 동쪽에 위치하고 있으며 1796년 (정조 20)7월 3일에 완공되었다. 평탄하고 넓은 지형에 위치하고 있으며 봉돈을 방어하기 위하여 설치하였다. 서북쪽의 포루와 다르게 성벽에서 많이 돌출되었으며 판문이 설치되어 있지 않다

 

동일포루
동일포루포루는 성곽을 돌출시켜 만든 치성 위에 지은 목조건물이며 초소나 군사대기소와 같은 곳이다. 동일 포루는 화성의 5개 포루 중 동쪽에 위치하고 있으며 1796년(정조20) 7월 10일 완공되었다. 평탄하고 넓은 지형에 위치하고 있으며 서북쪽의 포루와 다르게 성벽에서 많이 돌출되었으며 판문이 설치되어있지 않다.

자료 리스트
동포루
동포루동포루는 화성의 5개 포루 중 동쪽 동일치와 동이치 사이에 위치하고 있으며 1796(정조20) 7월 16일에 완공되었다. 포루는 적이 성벽에 접근하는 것을 막기 위해 화포를 쏠 수 있도록 만든 시설물로 치성의 발전된 형태이다. 화성의 포루는 모두 벽돌을 사용하여 만들었으며 공심돈과 같이 안을 비워 적을 위와 아래에서 동시에 공격할 수 있게 하였다.

자료 리스트
동일치
동일치치(雉)는 8곳이지만, 실제로는 16곳이나 된다. 위에 집을 지은 것을 포(鋪)라고 하는데, 8곳 치 가운데 포가 5곳이나 된다. 가운데를 비우고 벽을 친 것을 돈(墩)이라고 하는데, 돈이 2곳이나 된다. 위에 노수(弩手)를 매복시키는 곳을 노대라고 하는데, 대가 곧 8개의 치 중 그 하나이다. 그러니, 위에 집을 얹지 않고 여장만 있는 것이 치성 본래의 제도이다. 지금 8군데의 치라고 하는 것은 대(臺)와 포..

자료 리스트
동암문
동암문동암문은 동장대 서쪽 166보 되는 곳에 있다. 동쪽에 자리잡고 북쪽을 향하여 있으며 벽돌로 안과 밖의 홍예를 만들어 말 한필이 지나갈 수 있다. 안쪽 너비는 7척 높이는 8척이고 바깥은 너비가 6척, 높이가 7척 5촌이다. 문 위는 벽돌을 깔았고 누는 세우지 않았다. 다만 오성지와 한 개의 큰 둥근 여장을 설치하였는데 마치 나무로 만든 전붕(戰棚)의 제도와 같다. 좌우는 각각 비예를 갖추었고 안쪽은 평평한 여장을 설치하였다. 나머지..

자료 리스트
동북포루
동북포루동북포루(東北鋪樓)는 각건대(角巾臺)라고 부르기도 하는데, 방화수류정 동쪽 135보 4척쯤 되는 거리에 있다. 지세가 별안간 높아져서 용두(龍頭)를 눌러 굽어보고 있다. 『성서(城書)』에 이르기를, "치성의 위에 지은 집을 포(鋪)라 한다"고 하였다. 치성에 있는 군사들을 가려 보호하려는 것이다. 치성이 성 밖으로 18척 5촌이 튀어 나왔는데, 외면의 너비는 24척이고, 현안(..

자료 리스트
동북노대
동북노대동북노대는 창룡문의 북쪽 96보의 거리에 있다. 치(雉) 위에 벽돌을 쌓아 대(臺)를 만들었는데, 대 아래의 석축 높이 13척, 대의 높이 18척이다. 벽돌로 쌓는 방식은 사각형이지만 모서리를 깎아 벌의 허리처럼 만들어서 모를 죽인다. 안쪽 너비 17척 4촌, 바깥쪽 너비 19척, 성밖으로 나온 부분이 25척 5촌, 2개의 현안을 뚫었고, 위에 둥근 여장을 만들었다. 3면에 각각 1타씩이고, 바깥 쪽 2모퉁이에는 둥근 타구를 굽게 접..

자료 리스트
동북공심돈
동북공심돈동북공심돈은 노대의 서쪽 60보쯤 되는 거리에 있다. 성탁(城托)의 위 성가퀴 안에, 요동(遼東)에 있는 계평돈(平墩)을 본떠서, 벽돌로 쌓아서 둥그렇게 돈(墩)을 만들었는데, 겹으로 둘렀다. 높이 17척 5촌, 바깥 원 둘레 122 척, 벽돌로 된 부분의 두께 4척, 안쪽 원 둘레 71척, 내원과 외원 사이에 가운데 4척 5촌의 공간을 비워두고, 2 층 덮개판으로 둘렀다. 아래 층 높이 7척 3촌, 가운데 층 높이..

자료 리스트
방화수류정(동북각루)
방화수류정(동북각루)

동북각루는 벽성의 서북 19보 용연(龍淵)의 위에 있다.광교산의 한 쪽 기슭이 남으로 벋어내려 선암산이 되었고, 다시 서쪽으로 감돌아 몇리를 내려가 용두(龍頭)에서 그치고서 북쪽을 향하여 활짝 열렸다. 용두란 것은 용연의 위에 불쑥 솟은 바위이다.성이 이곳에 이르면 산과 들이 만나게 되고 물이 돌아서 아래로 흘러 대천에 이르게 되니, 여기야말로 실지로 동북 모퉁이의 요해처이다.장안문을 잡아 당겨 화홍문과 이어지게 함으로써,,,,생략

화홍문
화홍문북수문은 편액에 화홍문[사인(士人) 유한지(兪漢芝)가 썼다]이라 되어 있다. 방화수류정의 서쪽 44보 되는 곳에 있다. 광교(光敎) 언덕을 대천(大川)이 가로로 자르며 흐르고 있어, 여름 장마 때마다 범람하는 환난이 있었다. 그래서 성을 쌓기 시작할 때에 물길을 내는 일을 먼저 하였다. 넓혀서 소통을 시키고 7간의 홍예로 된 돌다리를 하천 위에 걸쳐서 설치하였다. 그 동서로 3간은 아래 너비가 8척 높이가 7..

자료 리스트
화서문
화서문화서문[편액은 좌의정 채제공이 썼다]은 성의 서문이다. 동남으로 행궁과 460보 떨어졌으며 묘좌(卯坐) 유향(酉向)에 자리잡고 있다. 홍예와 문루의 제도는 모두 창룡문과 같다. 다만 좌우의 돌 계단을 꺽어지게 해서 층을 만들었다. 안쪽 좌우의 무사는 아래 너비가 각각 9척이고, 바깥 쪽은 너비가 각각 22척 2촌이다. 홍예문 사이 좌우의 무사는 높이가 각각 18척이고 수문청은 문의 남쪽 가장자리에 있다[협도는 둘을 세웠다]. ..

자료 리스트
창룡문
창룡문창룡문[편액은 판부사 유언호(兪彦鎬)가 썼다]은 성의 동문이다. 서남으로 행궁과 1,040보 떨어져 있고, 유좌(酉坐) 묘향(卯向)이다. 안팎으로 홍예를 설치하였는데, 안쪽은 높이가 16척 너비가 14척, 바깥 쪽은 높이가 15척 너비가 12척, 전체 두께는 30척이다. 안쪽 좌우의 무사는 각각 아래 너비가 30척 높이 18척 5촌이며, 좌우의 와장대(臥長臺)는 길이가 각각 20척이고 돌계단은 각각 14층..

자료 리스트
장안문
장안문장안문[편액은 전 참판 조윤형(曺允亨)이 썼다]은 성의 북문이다. 행궁의 왼쪽 편인데 동쪽으로 780보되는 곳에 사좌(巳坐) 해향(亥向)으로 앉았다. 문의 안과 밖은 홍예로 되어 있다. 안쪽 홍예는 높이 19척 너비 18척 2촌이고, 바깥 쪽 홍예는 높이 17척 5촌, 너비 16척 2 촌, 전체 두께는 40척이다. 안쪽의 좌우에 있는 무사(武砂)[성석이 크고 잘 다듬어진 것으로 문 옆의 석면(石面)이 ..

자료 리스트
팔달문

 

 

 

 

 

 

 

 

출처    수원화성 문화 재

 

단 관광 홈페이지에서    발췌  

조선 후기인 1794년에 세운 화성의 남쪽 문으로, 문의 이름은 사방팔방으로 길이 열린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 화성의 4성문 중 동쪽문과 서쪽 문에 비해 북쪽문과 남쪽 문은 더 크고 화려하게 꾸몄다.
돌로 쌓은 무지개 모양의 문은 왕의 행차 시에도 가마가 드나들 수 있을 만큼 널찍하게 내고 위에는 정면 5칸 측면 2칸의 중층 문루를 세웠다. 문루 주위 사방에는 낮은 담을 돌리고 바깥쪽으로는 반달형 옹성, 좌우에는 적대 등 성문 방어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시설을 두었다. 옹성은 우리나라 성곽에서 일찍부터 채용되었던 방어 시설로서 서울성곽의 동대문, 전주성의 풍남문 등에서도 볼 수 있는데, 팔달문의 옹성은 규모와 형태면에서 한층 돋보인다. 또한 팔달문은 도성의 문루처럼 우진각 형태의 지붕과 잡상 장식을 갖춘 문루로서 규모와 형식에서 조선 후기 문루 건축을 대표한다.

- 지정번호 : 보물 제402호
- 지정연도 : 1964. 9. 3
- 시대 : 조선 1796년(정조 20)
- 유형 : 건축
- 소재지 : 수원시 팔달구 팔달로2가

 

 

입장료   \2000원

 

 

 

 

 

 

평일이라     관람객들이   그다지   없었답니다  

전혀   예고치않은   나들이아랴서    발바닥   아파서    수원 성꺼죽데기만 보고

왔나  봅니다 

 


 

여기는창룡문으로     기억하고   있어요   

 

관람차말고   그냥   도보를    성곽을   한바퀴   돌려면   1시간   30분 정도이면

수원화성   성곽을  구경할수  있다는   택시기사님의   설명을  들으면서  

옷차림   신발 불편해서   겉모습 구경햇지만  상당히  깨끗하고  좋았습니다

자..오눌은수원화성.성를구 경시켜드릴까요

자세한것은위폐이지홈폐이지참고하셔요

 

관심없으면안읽어봐도상관없고요

 

평일이지만특히 어린이들현장학습나온

 

유아들이많았어요...성곽을따라올라갔는데

 

아마제가본것은극히일부분

 

활쏘는국궁장도있었는데 시간제약

 

그리고엄첨많은사람들이줄서있었어요

 

성높은누각은자물쇠가채워져있어

 

누각에서바라볼수없었어요

 

나중에기회가주어지면또다시답사해볼량으로

 

오늘은꺼죽데기만보고 힐링하고왔습니다

 

수원성을다녀오고나서

2014년 9.17일    수요일  

성곽의   곷 수원화성은  아버지장헌세자에대한 효심으로  부친으 원침을 수원화산으로 옮긴

조선 제22대 정조대왕 이1794년 1월엧ㄱ공하여 2년9개월만에 1796년 9월에 완공햇다고합니다

둘례가 약 5,7미터 성곽의높이가 4.6미터 실학자인 유형원과정약용이설계석재와벽돌의 병용 화살과칭검 총포를 방어하는는  전근대적 성곽구조를 가졌다고합니다 이후200년동안 성곽이무너지기도하고 한국전쟁을격으면서 파손

1975년에   보수 복원 1997년12월 이탤; 나폴리에서 열린유네스크세계유산위원회 제21차

총회에서 세계문화유산으로  등록되어있다고 합니다

수원화성   4대문 팔달문장안문 화서문 창룡문

수원화성을    출입하는  4개의문  팔달문과   장안문은 남북의  정문출입구랴고합니다